inseo0626
4대보험은 『보수월액(보험마다 명칭이 약간 상이하지만 한 마디로 월 평균 보수액을 말합니다)』을 통해 개인 종사자의 보험료를 책정하게 됩니다.
회계 담당자는 개인 종사자별 월보수액을 책정해야하는데, 보수라고 한다면 (근로소득-비과세)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즉 [(기본급+제수당)-비과세]/12' 로 보시면 됩니다.
예를들어, A종사자의 급여가 연봉 2,400만원이라고 할게요. (기본급+가족수당+급식비)
이 중에서 급식비 10만원은 비과세 항목에 포함됩니다. 그러므로 연간 1,200,000원은 제외해야합니다.
* 비과세 제외한 연봉: 24,000,000원-1,200,000원=22,800,000원
* 월보수액: 22,800,000원/12개월=1,900,000원
그럼 1,900,000원이 월 보수액이 되는겁니다.
(※ 인터넷에 '급여 비과세 항목' 이라고 검색하면 비과세 항목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.)
회계는 전임자나 회계에 능한 상사가 없으면 정말 힘들죠 ㅠㅠㅠ 사실 기관 내 배울 사람이 있어도 어려운게 회계이니까요. 저는 회계업무할때 상사의 도움을 굉장히 많이 받았었고, 동시에 저 또한 국세상담센터나 국세청 문의, 인터넷 서칭 등을 많이 했어요. 배우는 과정을 어렵지만 한번 제대로 배워두면 확실한 나의 업무적 무기가 되기도 하더라구요.
제가 아는 한해서는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고, 관련해서 더 많이 서칭해보시기를 바랍니다!
회계 담당자는 개인 종사자별 월보수액을 책정해야하는데, 보수라고 한다면 (근로소득-비과세)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즉 [(기본급+제수당)-비과세]/12' 로 보시면 됩니다.
예를들어, A종사자의 급여가 연봉 2,400만원이라고 할게요. (기본급+가족수당+급식비)
이 중에서 급식비 10만원은 비과세 항목에 포함됩니다. 그러므로 연간 1,200,000원은 제외해야합니다.
* 비과세 제외한 연봉: 24,000,000원-1,200,000원=22,800,000원
* 월보수액: 22,800,000원/12개월=1,900,000원
그럼 1,900,000원이 월 보수액이 되는겁니다.
(※ 인터넷에 '급여 비과세 항목' 이라고 검색하면 비과세 항목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.)
회계는 전임자나 회계에 능한 상사가 없으면 정말 힘들죠 ㅠㅠㅠ 사실 기관 내 배울 사람이 있어도 어려운게 회계이니까요. 저는 회계업무할때 상사의 도움을 굉장히 많이 받았었고, 동시에 저 또한 국세상담센터나 국세청 문의, 인터넷 서칭 등을 많이 했어요. 배우는 과정을 어렵지만 한번 제대로 배워두면 확실한 나의 업무적 무기가 되기도 하더라구요.
제가 아는 한해서는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고, 관련해서 더 많이 서칭해보시기를 바랍니다!
2022-01-18 14:3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