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략적 가족치료
-가족의 반복되는 역기능적인 행동에 직접적인 개입으로 변화를 유도하는 접근
-MRI 상호작용모델, 헤일리의 전략적 구조주의 모델, 밀란의 체계적 모델의 세 가지가 있으며, 베이트슨의 순환적 인식론에 영향을 받았으나 핵심개념과 개입방식에서 차이가 있다
전략적 가족치료 발달배경
1.MRI 상호작용모델
2. 전략적 구조주의 모델
3. 밀란 모델
주요개념
1. MRI모델: 의사소통: 가족항상성, 이중구속, 피드백고리, 가족규칙
1) 의사소통의 공리
2) 가족항상성
3) 이중구속(double-bind)
4) 피드백 고리
5) 가족규칙
2. 전략적 구조주의 모델: 권력과 통제, 역설적 개입, 위계
1) 권력과 통제(power and control)
2) 위계(hierarchy)
3) 역설적 개입(paradoxical intervention)
3. 밀란 모델: 가족게임과 가설설정-순환 질문-중립성
1) 가족게임(family game)
2) 가설설정(hypothesizing)
3) 순환 질문(circular questioning)
4) 중립성(neutrality)
치료목표 및 치료과정
1. 치료목표
2. 치료과정
①문제의 정의, ②목표 설정, ③목표 달성을 위한 치료적 개입
전략적 모델의 치료과정
MRI 상호작용 모델, 전략적 구조주의 모델, 밀란의 체계적 모델
1) 초기면접
2) 사정 및 가설설정
3) 개입하기
치료자 역할 및 치료기법
1. 치료자 역할
2. 치료기법
1) 역설적 개입
2) 긍정적 의미부여
3) 의식(ritual)
4) 불변의 처방
평가
제목 : 전략적 가족치료
원저작자 : -
참고문헌 : -
참고사이트 : -